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반려동물상식109

반려동물 사전) 몰티즈 안녕하세요~! 반려견과 반려인이 공존하는 펫-C 사회를 만들고 싶은 ‘도그롤로’의 Green입니다. ​ 이번 시간엔 강아지 몰티즈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 몰티즈 [Maltese] ◎ 역사 몰티즈는 다른 견종들에 비해 그 역사가 길고 그 기록도 뚜렷한 편인데요. 지중해의 몰타 섬이 고향인 몰티즈는 기원전 10세기경부터 이탈리아반도, 유럽, 북아프리카 등 여러 지역에 걸쳐 등장해요. 몰티즈는 작고 귀여운 외모에 의해 그리스, 로마의 귀부인들에게 특히나 사랑을 받았고, 그로 인해 몰티즈라는 이름이 확립되기 전까지는 '로마 귀부인의 개'라고 불렸다고 해요. 로마의 귀부인들 사이에서 소매나 가슴에 몰티즈를 넣고 다니는 게 유행이었을 정도라고 하니 몰티즈를 향한 그녀들의 사랑은 이루 말할 수 없겠죠. 이렇게 .. 2021. 7. 6.
반려동물 사전) 제페니스 친 안녕하세요~! 반려견과 반려인이 공존하는 펫-C 사회를 만들고 싶은 ‘도그롤로’의 Green입니다. ​ 이번 시간엔 강아지 제페니스 친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 제페니스 친 [Japanese Chin] ◎ 역사 제페니스 친은 일본 출신의 견종이에요. 고대 문서에 따르면, 한국의 왕(신라시대 377-935년)이 일본 황실에 732년에 선물한 개가 제페니스 친의 조상으로 추정하고 있죠. 그로부터 100년간 일본에서 친의 개체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이며, 일본에서 중국(당 618-910년)과 현재의 북한 지역(발해 698-926년)으로 보낸 특사가 친을 데려갔다는 역사 기록도 남아있어요. 도쿠가와 츠나요시가 통치하던 시대(1680-1709년)에도 에도 성에서 실내 애완견으로 길러졌다고 전해지며, 16.. 2021. 7. 6.
반려동물 사전) 진돗개 안녕하세요~! 반려견과 반려인이 공존하는 펫-C 사회를 만들고 싶은 ‘도그롤로’의 Green입니다. ​ 이번 시간엔 강아지 진돗개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진돗개 [Jindo Dog] ◎ 역사 진돗개는 한국 출신의 토종 견종이에요. 진돗개는 대한민국 남서쪽 해안에 있는 진도라는 섬에서 유래하였죠. 확실한 유래는 밝혀진 것이 없으나 석기시대의 사람들이 기르던 개의 후예라고 할 수 있는 개 중에서 나온 동남아시아계의 중간형에 속하는 견종이에요. 그 기원에 대해서는 삼국시대 남송의 무역선에 의해 유입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1270년 삼별초의 항쟁이 일어났을 때 몽골에서 제주도 목장의 군용 말을 지키기 위해 들여왔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죠. 대륙과 격리된 채 비교적 순수한 형질을 그대로 보존하여 오늘날의 진돗개가.. 2021. 7. 5.
반려동물 사전) 제주개 안녕하세요~! 반려견과 반려인이 공존하는 펫-C 사회를 만들고 싶은 ‘도그롤로’의 Green입니다. ​ 이번 시간엔 강아지 제주개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제주개 [Jeju Dog] ◎ 역사 제주개는 한국 출신의 토종 견종이에요. 제주개는 6.25 전쟁 이전까지는 오소리와 꿩을 사냥하는 사냥견종으로 이름을 알렸죠. 언제부터 제주도에 길러졌는지 확실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중국, 일본, 한국을 잇는 해로의 요충지인 지리적 조건으로 볼 때 비교적 일찍부터 개를 길렀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상당히 오래전일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죠. 항해술이 발달하면서 고대 기항지로서 제주도의 가치가 감소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믹스가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면서 제주개의 원 모습이 유지되게 되었어요.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군.. 2021. 7. 2.
반응형